그냥 저냥

기아차 '프라이드'의 단종 소식이 섭섭한 이유

새 날 2017. 12. 23. 14:49
반응형

청년 시절, 유독 소유하고 싶던 차량이 있었다. 비록 화려하지 않은 모양새에 차체마저 조그마했으나, 단단해 보이고 군더더기 없는 외관이 마음에 쏙 들었던 터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잔고장도 거의 없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사회 초년생이나 초보 운전자가 몰고 다니기에 더 없이 안성맞춤인 차량이었다. 기아자동차의 '프라이드'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지금은 현대자동차에 인수 합병되고, 이후 숱한 변화를 겪어오면서 기아차의 고유 이미지가 많이 퇴색된 게 사실이다. 하지만 과거 기아차 하면 다소 투박한 디자인에, 잔고장이 없으면서 튼튼한 차량의 대명사였다. 


아마도 내게 그러한 이미지를 깊게 각인시킨 대표적인 차량이 바로 '프라이드'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비단 나뿐이었겠는가. '프라이드'라는 자동차 이름은 소비자 응모를 통해 결정된 터라 대중들의 기억에는 대개 비슷한 이미지로 남아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물론 이후에 출시된 몇몇 차량에도 기아의 그 투박하고 강인한 이미지의 DNA는 고스란히 살아있다. 지금도 그 명맥을 잇고 있는 '스포티지'가 대표적인 사례다. 스포티지의 튼튼한 뼈대와 플랫폼은 뒤이어 등장한 정통 지프 '레토나'에 그대로 이식됐으며, 동시에 기아의 고유 이미지도 함께 이식됐다. 군용 차량이기도 한 이 모델은 지금도 군 부대에 가면 현역으로 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세대 '프라이드'는 오랜 시간 동안 대중들의 사랑을 듬뿍 받아왔다. 1987년에 출시된 이래 2000년 단종될 때까지 13년 동안 국내에서만 총 70만1876대가 팔렸다. 하지만 아쉽게도 '프라이드'는 기아자동차의 독자개발 모델이 아니었다. 설계는 일본의 마쯔다가 맡았으며, 생산은 기아차가, 그리고 판매는 포드가 담당하는 등 일종의 월드카였다. 



당시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 여건으로 볼 때 독자개발을 못한 건 일견 수긍이 간다. 박정희 정권의 '자동차공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기아차는 승용차를 생산할 수 없었고, 덕분에 라이벌인 현대차에 비해 운신의 폭이 좁디좁았던 터다. 프라이드는 이러한 조치가 해제되면서 비로소 출시된 첫 번째 차량이기도 하다. 프라이드는 국내 출시 1년 전에 이미 포드 브랜드와 '페스티바'라는 이름으로 해외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었다. 이렇듯 프라이드는 단종될 때까지 전 세계적으로 600만 대가 넘는 판매고를 올린 베스트셀러 차량이었다. 



프라이드는 그 인기만큼이나 다양한 모델을 선보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가운데서도 가장 특이했던 모델은 짤막한 차체 덕분에 적재 공간에 아쉬움을 느껴오던 이들을 겨냥한, 트렁크 공간을 별도로 만든 4도어 `프라이드 베타`와 아예 차체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출시한 5도어 왜건이다. 그밖에 2인승 밴 모델과 당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경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저배기량 엔진을 탑재하고 편의장비를 대폭 축소하여 가격을 낮춘 경제형 모델 '프라이드 POP', 마찬가지로 염가형 모델이지만 '프로이드 POP'에 적용된 1.1리터가 아닌 1.3리터의 5도어 '프라이드 영' 또한 실용적인 모델로 인기를 끌었다. 



차량 전문가들이 꼽는 이 차량만의 장점은 이러했다. "마쯔다가 개발한 엔진에 변형을 가하지 않은 까닭에 퍼포먼스 효율이 높다. 엔진의 완성도가 뛰어나고 매칭이 좋아 금속 마찰음 등 잡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소형엔진으로는 정숙성과 부드러움이 무척 뛰어난 편이다. 초기에도 그러했지만 여전히 잔고장이 없고 차체의 강성이 좋은 것은 프라이드의 가장 큰 장점 가운데 하나다." 


아마도 기본기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데다가 다소 투박하지만 질리지 않는 외관, 아담한 차체 크기 덕분에 대중적인 인기를 끌지 않았나 싶다. 지난 2000년 기아차가 현대차에 인수 합병되고 한동안 우리의 뇌리에서 사라졌던 '프라이드'를 다시 깨운 건 5년이 지난 뒤인 2005년의 일이었다. 승용차의 대중화를 이끌고 많은 이들의 향수를 불러일으킨 모델이라는 공헌 사실을 받아들여 생산이 재개된 것이다. 이후 프라이드는 2세대, 3세대를 거쳐 현재 4세대 모델에 이르고 있다. 



최근 프라이드의 단종 소식이 들려온다. 기아차가 4세대인 신형 프라이드의 내수판매 중단을 검토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해당 차량은 앞으로 해외시장 수출 모델로만 그 역할을 다할 것이란다. 선호도가 높고 가장 많이 팔리는 차량이 대형 세단 일색일 만큼 덩치 큰 차량을 선호하는 대중들의 성향과 각종 혜택이 더해지는 경차의 인기에 가려져 소형차는 갈수록 그 입지가 좁아지지고 있는 터다. 그로 인한 조치인 듯싶다. 



하지만 '프라이드'는 단순히 대중적인 인기가 없다고 하여 그 이름을 쉽게 지워버려서는 안 되는, 몇 안 되는 자동차 명칭 가운데 하나다. 기아차의 자존심이기도 하거니와 기아차만이 지니고 있을 법한 고유한 DNA가 깊숙이 각인돼 있는 탓이다. '프라이드'는 서민과 함께해온 지 올해로 벌써 30년째다. 소형차가 안 팔린다는 이유로 차량의 단종과 함께 그 이름마저 폐기하려는 건 기아차 스스로의 자존심을 꺾는 바보 같은 행위에 다름 아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긋고, 30년 동안 생사고락을 함께했던 녀석을 그냥 내차버린다는 건 그동안의 공헌을 생각해서라도 마땅히 재고돼야 한다. 비록 배기량 등 차체 급이 달라지더라도 기아차 고유의 DNA를 온전히 담을 수 있는 '프라이드'라는 자동차 명칭만큼은 계속해서 살려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작지만 단단한 체구, 강인한 기본기로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우리나라 승용차 시장의 텃밭을 일구고 대중화를 선도했던 '프라이드'의 단종은 그래서 더욱 아쉽고 섭섭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