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편린들

입으로만 소통 외치며 불통 치닫는 박근혜정부

새 날 2013. 4. 11. 10:59
반응형

 

지난 4일 청와대 김행 대변인은 '국정비전 및 국정기조, 정부 및 각급 공공기관 게시 관련 브리핑'을 통해 현 정부 표기시 "박근혜 정부"는 잘못된 표기법이니 앞으로 "박근혜정부"로 해 줄 것을 공식 선포한 바 있습니다.  고유명사이기에 붙여 써야 한다며 친절하게도 띄어쓰기까지 직접 언급하고 나선 것입니다.  무려 국립국어원의 감수까지 마쳤다는 부연설명이 덧붙여졌습니다.  참고로 민주화 이후 역대 정권 중 정부이름에 띄어쓰기까지 언급한 정권은 이번이 처음이라 합니다.

 

이보다 앞선 취임 초기, 박근혜 대통령께서 자신의 호칭에 대해 직접 언급한 일이 있었는데요.  자신을 부를 때 역대 정권에서처럼 이름의 이니셜을 따 만들어진 "GH"와 같은 형태로 불리기보단 그냥 "박근혜정부"로 불리웠음 한다는 취지였습니다.

 

물론 정부 표기를 통일감 있고 국문법에 맞게 정확히 표현해야 하는 것에는 동감합니다.  아울러 대통령 자신에 대한 호칭도 당신께서 불리기 싫어하는 것을 언급해 가며 달리 불리웠음 좋겠다는 의사 피력,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 봅니다.  아마도 여성 대통령이기에 이전 정권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여성만의 좀 더 섬세하거나 감성적인 면이 부각된 측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최근 청와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일들을 엮어 한데 추려 보면, 좋게 받아들이고 싶은 부분들까지 모두 "불통"이란 이미지로 일관성 있게 다가오기에 우려를 감출 수 없는 것입니다.   취임 초부터 계속되어 왔고, 여전히 쟁점화되고 있는 인사 사태에 대한 언급, 굳이 하지 않더라도 불통의 흔적들은 널려 있습니다. 

 

지난 3일 언론에서 취재원의 보호를 위해 흔히 사용해 오던 "청와대 관계자"라는 익명 표현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대변인들과 정무수석 등 청와대 고위 인사들이 직접 나서, 기사 작성시 이를 쓰지 말아달라고 요청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 일이 이번 한 번만이 아닌 것이었습니다.

 

지난 10일에는 국가 안보가 매우 위중한 시기이니 역시 "청와대 관계자"를 인용한 보도에 신중을 기해 달라는 김행 대변인의 거듭된 요청이 있었습니다.  익명 보도 자제 요청이 청와대 고위급 인사들의 입을 거치며 수 차례 거듭되어 왔고, 아울러 갈수록 압박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보니 이에는 분명 박 대통령의 강한 의중이 실려 있을 것이란 짐작이 가능해지는 부분입니다.

 

이는 가뜩이나 접촉이 어려워 언론인들의 청와대에 대한 취재 갈증이 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소해 주기는 커녕 오히려 이들의 언론 보도 행위를 더욱 위축시켜 국민들의 알 권리마저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해 보이는 일입니다.  이쯤되면 언론인들 입에서 언론 탄압이란 말이 괜시리 나오는 것이 아니겠지요.

 

국가안보를 빌미로 언론인들의 펜대를 부러뜨리고 입에는 재갈을 물리며, 나아가 국민들의 알 권리를 깡그리 무시했던 선친의 유신업적이 데자뷰되는 현상, 과연 저만의 망상에 불과한 일일까요?  독선과 아집 그리고 불통에 치우친 행보는 대통령께서 목이 쉬도록 외쳐왔던 "국민행복"과 전면 배치되는, 국민들을 불행에 빠뜨리는 일이란 점 명심했음 하는 바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