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경험의 즐거움

한글 창제의 막전막후 '나랏말싸미'

새 날 2019. 7. 23. 18:13
반응형

세종(송강호)은 말을 담아낼 수 있는 우리글을 만들고자 중국의 언어학 관련 서적들을 모두 탐독하는 등 부단히 노력하였으나 진전이 없자 조바심이 나는 듯싶었다. 급기야 그동안 애써 만들어 온 책들마저 모두 빗속에 내던진다. “한자를 읽지 못하는 백성들에겐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이라는 쓰라린 탄식과 함께였다.

이러한 와중에 일본에서 일군의 승려들이 찾아온다. 이들은 팔만대장경 원판을 줄 때까지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겠다며 궁궐에서 시위를 벌인다. 선왕의 약속을 지키라고 압박을 가해 온 것이다. 이들과 담판을 짓기 위해 전면에 나선 건 해인사 스님 신미(박해일)였다. 신미 덕분에 일본 승려들은 결국 발길을 돌리게 된다.

팔만대장경에 소리글자의 원리가 담겨있다고 주장하던 신미는 산스크리트어 등 다양한 언어에 정통한 인물이었다. 산스크리트어를 통해 소리글자의 이치를 비로소 깨달은 세종은 신미의 놀라운 능력을 간파하고 백성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아름다운 소리글자를 함께 만들자며 그에게 협업을 제안한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와 관련하여 알려진 여러 종류의 설 가운데 신미 스님과 손을 잡고 함께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근간으로 영화적 상상력을 더해 만들어진 작품이다.

세종대왕은 조선 왕조를 통틀어 최고의 성군으로 꼽힌다. 그가 이끌던 당시 사회는 숭유억불정책이 기조를 이루던 때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까지만 해도 글자는 일종의 권력이었다. 글자를 아는 소수 무리만이 지식과 부를 움켜쥐었고, 글자를 모르는 평범한 사람들 대부분은 그로부터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세종은 백성들이 겪는 이러한 고통을 일찌감치 헤아리고 우리만의 글자를 직접 만들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억불정책을 펼치던 조선은 불교 때문에 고려가 망했다고 여기는 유자의 나라로, 자신들만이 글자를 독식한 뒤 새로운 글자 도입을 탐탁지 않게 여겨 온 신하들이 이에 협조할 리 만무했다. 더구나 갖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글자에 대한 실마리조차 찾지 못하는 현실이 세종의 발목을 단단히 잡고 만다.

이런 가운데 세종의 눈에 문득 신미가 들어오게 된 것이니, 당시에는 그가 천한 신분인 불자였음에도 임금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을 수 있었던 건 어쩌면 운명과도 같은 것이었을지 모른다. 물론 결과적으로는 세종의 고민을 곁에서 지켜 보다 못한 소헌왕후(전미선)가 직접 수소문하여 신미 스님을 궁궐로 불러들이는 등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한 덕분이지만 말이다.



소헌왕후는 한글을 널리 퍼뜨린 숨은 주역이기도 하다. 그녀는 힘겹게 탄생한 한글이 유자들의 반대에 부딪히자, 궁녀들을 통해 그 식솔들에게까지 글자가 널리 전파될 수 있도록 막후에서 힘을 보탠다.

소헌왕후로부터는 세종과 애틋함을 주고받던 한 여인으로서의 모습뿐 아니라 왕비 신분으로서의 단아한 심성과 기품, 그리고 부드러운 카리스마까지 골고루 느껴진다. 이는 얼마 전 세상을 떠난 배우 고 전미선의 마지막 배역이라는 점에서 우리를 더욱 안타깝게 하는 대목이다.



영화는 세상의 모든 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소리를 채집하여 이를 분류하고, 발성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점과 선, 그리고 면의 형태로 점차 글자를 완성해가는 과정을 스크린 위에 차례차례 그려나간다. 처음에는 윤곽조차 드러나지 않던 글자가 임금인 세종을 비롯하여 왕자와 스님 등 신분이나 종교의 차이마저도 가볍게 뛰어넘어선 이들의 지난한 노력으로 서서히 형태를 갖춰나간다.

기득권 유지에 혈안이 된 유자들의 반대에 맞서 모든 백성이 글자를 읽고 쓸 수 있기를 바랐던 세종의 이상. 숭유억불이라는 기조 속에서도 오로지 백성을 위한 길을 끊임없이 고민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과감히 서로의 차이마저도 품었던 그의 놀라운 포용력은 마침내 온 백성이 함께 읽고 쓸 수 있는 세계 최고의 문자 한글을 창조하는 기적을 일궈낸다.



여기에 공자를 타고 온 임금 세종과 부처를 타고 온 스님 신미 사이를 파고들며 둘을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소헌왕후, 그리고 새로 탄생한 문자를 널리 퍼뜨리는 역할을 톡톡히 담당했던 궁녀들의 노고까지 더해지면서 일부 기득권 세력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한글은 대중화의 길로 좀 더 깊숙이 접어들게 된다.

영화 <나랏말싸미>는 우리가 평소 공기나 물처럼 여겼던 탓에 고마움을 모르고 사용해 온 한글에 이렇듯 한 위정자의 놀라운 이상과 실천력 그리고 인류 보편적 가치까지, 수많은 이들의 수고로움이 깃들어있음을 일깨우며 깊은 울림을 준다.



감독  조철현


* 이미지 출처 : 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반응형